BK IT Blog

퀄컴이 몇 일전에 스냅드래곤 480을 공개했습니다.

5G 를 지원하는 AP로 모뎀과 통합이 된 퀄컴의 첫번째 보급형 AP 입니다.

 

퀄컴의 스냅드래곤은 4XX / 6XX / 8XX 로 크게 나뉘어 집니다.

4XX는 보급형, 6XX는 중급형, 8XX는 고급형(플래그십라인)으로 이야기 할 수 있으며, 중간의 파생적인 7XX은 중급형보다는 좀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면서 고급형에 비해서는 라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6XX 모델도 좋아하지를 않으며, 7XX도 탐탁치 않게 여기고 있습니다만 해외에서는 나쁘지 않은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765G, 768G 등을 탑재하는 스마트폰이 적지 않습니다.

 

스냅드래곤 480은 460의 후속 AP입니다.

그런데 적지 않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 개인적으로는 좀 기대가 됩니다.

물론 국내에는 스냅드래곤 480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만나보기는 쉽지 않을 듯 합니다.

 

8nm 제조공정

 

스냅드래곤 460은 11nm 이였습니다만 스냅드래곤 480은 8nm 공정으로 제조가 됩니다.
물론 스냅드래곤 888의 5nm 공정에 비하면 높은 수치이기는 합니다만 일단 8nm 공정으로 내려간 만큼 스냅드래곤 460에 비해서는 더 좋은 전력 효율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옥타 코어(8개의 코어) CPU

 

2개의 빅 코어 Kryo 460 Gold 2 GHz와 6개의 효율적인 코어 Kryo 460 Silver 1.8 GHz, 총 8개의 코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탑재된 코어들이 기존 스냅드래곤 675에 탑재되었던 같아서 상당한 CPU의 성능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스냅드래곤 675 정도의 성능이면 이제 보급형 스마트폰도 일반적인 사용에는 정말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GPU 성능 개선

 

GPU가 Adreno 619가 탑재가 되었는데, 이 GPU는 스냅드래곤 750G와 690에 탑재된 것입니다.
물론 디튠이 진행이 될 것으로 보이기는 합니다만 Adreno 619가 탑재되는 것을 정말 의외 입니다.

 

Hexagon 686 DSP

 

스냅드래곤 480의 인공지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는 Hexagon 686 DSP, 스냅드래곤 670과 675에 탑재가 되었던 Hexagon 686 DSP이 담당을 하게 됩니다.

 

그 외

 

64MP 카메라 지원, FHD+ 120Hz 주사율, 퀵차지 4+ 그리고 Wifi 6도 지원을 합니다.

 

스냅드래곤 480은

 

보급형 스마트폰에 탑재가 될 스냅드래곤 480은 성능적이나 스펙적이나 상당한 개선이 되었습니다.
스냅드래곤 675 정도의 성능을 보유하면서 8nm 공정으로 전력효율 및 발열 또한 개선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저가, 보급형 스마트폰의 성능도 상당히 올라간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스냅드래곤 480을 탑재한 스마트폰이 출시가 되면 성능에 대한 평가가 정확히 이루어지겠습니다만 이제는 30만원대 정도의 스마트폰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듯 하네요.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